Lucky Unlucky
[스터디] KS 규정 본문
✅ KS 규정이란?
KS 규정(Korean Industrial Standards)은 한국 산업 표준화법에 따라 제정되는 대한민국의 국가 표준이다. 약칭으로 KS라고 표기하며, 산업 전반에 걸쳐 제품, 서비스, 기술 등의 표준을 규정하여 품질 향상, 생산성 향상, 소비자 보호 등에 기여한다.
KS 규정은 원칙적으로는 권고사항이며 법적으로 반드시 따라야하는 강제 규정은 아니다. 하지만 KS 규정은 산업 전반의 표준화를 통해 제품의 품질 향상, 생산성 향상, 소비자 보호 등에 기여하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KS 규정을 준수하고 있다.
✅ KS 규정의 종류
KS 규정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부문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 기본 부문 (A): 표준의 서식 및 작성 방법, 계량 단위, 시험 방법 등을 규정합니다.
- 기계 부문 (B): 기계 요소, 공작 기계, 정밀 기기, 운반 하역 기계 등을 규정합니다.
- 전기 부문 (C): 전기 기기, 전선, 전력 설비, 전자 부품 등을 규정합니다.
- 금속 부문 (D): 철강, 비철 금속, 금속 가공품 등을 규정합니다.
- 화학 부문 (E): 화학 제품, 화학 분석 방법 등을 규정합니다.
- 요업 부문 (F): 세라믹, 유리, 시멘트 등을 규정합니다.
- 섬유 부문 (G): 섬유, 직물, 의류 등을 규정합니다.
- 목재 부문 (H): 목재, 합판, 가구 등을 규정합니다.
- 광업 부문 (K): 광물, 석탄 등을 규정합니다.
- 수산 부문 (L): 수산물, 어구 등을 규정합니다.
- 농업 부문 (M): 농산물, 농기계 등을 규정합니다.
- 축산 부문 (N): 축산물, 축산 기계 등을 규정합니다.
- 식품 부문 (P): 식품, 식품 가공 방법 등을 규정합니다.
- 보건 부문 (Q): 의료 기기, 위생 용품 등을 규정합니다.
- 환경 부문 (R): 환경 오염 방지, 환경 측정 방법 등을 규정합니다.
- 건설 부문 (S): 건축 자재, 건축 공법 등을 규정합니다.
- 에너지 부문 (T): 에너지 효율, 에너지 설비 등을 규정합니다.
- 운송 부문 (V): 철도, 자동차, 선박 등을 규정합니다.
- 정보 부문 (W): 정보 기술, 통신 등을 규정합니다.
- 서비스 부문 (X): 서비스 품질, 서비스 절차 등을 규정합니다.
✅ KS 규격 제 · 개정 방법
KS 규격의 제 · 개정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1. 국가기술표준원장이 제안하여 제 · 개정하는 경우
학회, 연구소 등에 용역을 의뢰하거나 자체적으로 초안을 작성
2. 개인, 기업, 관련기관 등 이해관계인의 신청으로 제 · 개정하는 경우
작성된 표준안에 대하여 이해관계인의 의견을 수렴하고 산업표준심의회를 거쳐 국가기술표준원장이 관보 및 국가기술표준원 인터넷 홈페이지에 고시함으로써 한국산업 표준으로 확정된다.
* 한국산업표준은 제정일로부터 5년마다 적정성을 검토하여 개정/확인/폐지 등의 조치를 하게되며, 필요한 경우 5년 이내라도 개정 또는 폐지 할 수 있다.
✅ KS 규격 도입 배경
KS 규격은 국가기술표준원에서 제정 및 관리한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조선 고종 20년인 1883년 화폐주조를 위한 분석시험소에서 출발하여, 1961년 국가표준인 KS 제도를 도입해 지금까지 재화와 서비스의 품질관리를 주도하고,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정부 대표기관으로 활동하며 우리 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선도하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
국제표준화기구는 1947년 2월 23일 공식적인 업무를 시작한 국제적인 표준 개발 기구이며, 전 세계 163개국이 회원으로 참여하는 대표적인 국제 표준 개발 기구이다. 민간 기구이지만 국제적인 영향력이 매우 크며 산업, 기술,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표준을 개발한다.
KS 제도는 제정 초기부터 ISO 표준과 조화를 추구하였으며, 국내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해외 시장 진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략적인 선택이었다. 1980년대부터 KS 표준 국제화 사업을 추진하여 KS 표준을 국제 표준에 부합하도록 개선하였으며, 현재 많은 KS 규격은 ISO규격과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KS ISO라는 이름으로 제정되기도 한다.
✅ KS 인증 제도
KS 인증 제도는 산업표준화법에 따라 KS 인증기관이 심사를 거쳐 산업 표준이라고 인정하는 제품에 KS 마크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 인증 제도이다. 한국표준협회에서 국가기술표준원의 위탁을 받아 KS 인증 심사를 수행한다.
KS 인증은 제품 또는 서비스가 해당 분야의 KS 규격에 적합하게 생산되었는지, 서비스가 KS 규격에 맞게 제공되는지를 평가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KS 규정은 KS 인증의 핵심 기준이 된다.
✅ KS인증의 기대효과
a. 인증기업의 경쟁력 제고
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을 근간으로 품질 고급화, 생산성 향상, 불량률 감소, 원가절감 등을 실현
b. 공공의 안전성 확보 및 소비자 보호
국가 표준에 적합한 제품을 생산 · 유통시킴으로써 제품 불량으로 인한 사고 등을 사전에 예방
c. 물품 등의 구매 기준으로 활용
국가, 지자체, 공공기관, 공공기관 및 대형 건설 공사현장 등에서 물품을 구매 할 때 별도의 품질 확인 절차를 생략하고 KS인증제품(서비스)를 구매함으로써, 생산자 및 소비자 모두에게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게 함
d. 유통 및 시공 등의 단순화 · 투명화
KS에 따라 표준화된 제품(서비스)를 생산 · 보금함으로써 표준화된 제품이 유통되어 거래가 명확 · 투명화
✅ KS 규정 열람 사이트
e나라 표준인증 : https://www.standard.go.kr/KSCI/standardIntro/ksForApplying.do?menuId=517&topMenuId=502
e나라 표준인증
국가표준 처음으로 > <!-- 표준 --> 표준 <!-- 표준이야기 --> 표준이야기 국가표준 국가표준 이란 : 국가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정확성, 합리성 및 국제성을 높이기 위하여 국가적으로 공인된 과학적
www.standard.go.kr
'공부거리 > 설계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터디] 볼 나사 (1) (0) | 2025.03.11 |
---|---|
[스터디] 구름 베어링 (2) (0) | 2025.03.07 |
[스터디] 구름 베어링 (1) (0) | 2025.02.28 |
[스터디] 설계 - 공차 (1) (0) | 2025.02.21 |
✔️ 경력 목표 (REV02 250221) (0) | 2025.02.13 |